국립한글박물관, 개화기 한글을 엿볼 수 있는 전시 <나는 몸이로소이다> 개최

 

국립한글박물관은 특별전 <나는 몸이로소이다 – 개화기 한글 해부학 이야기>를 지난 7월 19일(목)부터 오는 10월 14일(일)까지 3층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한다.

매년 문화적 가치가 뛰어난 미공개 소장자료를 발굴하여 기획전을 여는 국립한글박물관은 이번 전시에서 우리나라 최초 한글 해부학 교과서인 ‘제중원 『해부학』’을 대중에게 처음으로 공개한다.

고종 때 세워진 근대식 병원 제중원은 조선 의학생들을 영어원서로 가르치는 데 한계를 느꼈고, 학생들이 쉽게 배울 수 있도록 한글로 번역된 의학 교과서가 필요했다. 이에 이마다 쓰카누의 『실용해부학』을 제중원 학생 김필순이 우리말로 번역하고, 교수 에비슨이 교열하여 1906년에 ‘제중원 『해부학』’이 탄생하게 된다. 

 

▲ 『해부학』(1906) / 국립한글박물관 소장▲ 『해부학』(1906) / 국립한글박물관 소장

 

해부학 교과서는 몸을 대상화하고 과학적으로 분석한 서양의학의 세계관을 보여주는 자료로써, 몸에 대한 우리말과 전통적 사고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게 해준다. 개화기 사람들이 해부학을 기초로 한 근대 서양의학을 받아들이는 일은 단순히 몸을 치료하는 것 이상으로 몸에 대한 근본적인 세계관이 바뀌는 일이었다.

<나는 몸이로소이다>는 1부 ‘몸의 시대를 열다’, 2부 ‘몸을 정의하다’, 3부 ‘최초의 한글 해부학 교과서’로 구성되어 있으며, 18개 기관 소장유물 127건 213점도 함께 공개한다. 그 중, 1796년에 구윤명이 편찬한 검시 지침서 『증수무원록언해』에서는 몸을 가리키는 다양한 우리말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. 정수리는 뎡박이, 관자놀이는 태양혈, 귓바퀴는 귓박회, 갈비뼈는 가리뼈, 넓적다리는 싄다리로 표기되어 있다.

한편, 국립한글박물관은 전시 개막을 기념하여 SNS 이벤트도 진행한다. 인스타그램에 전시장 사진과 함께 ‘#몸이로소이다, #한글, #해부학, #국립한글박물관’ 해시태그를 업로드하면 안내데스크에서 선물을 받을 수 있다. 에코백과 유리컵 중에 택하여 가져갈 수 있으며 선착순 300명까지 제공된다. 전시 관람료는 무료.

 


FONTCLUB 에디터 최현희


 

Leave a Reply

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입력창은 *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.